고래 - 천명관

책과글 2008. 11. 20. 23:34 |
홍모의 추천으로 읽은 소설. 이런 좋은 녀석을 추천해줘서 고맙다.

천명관의 소설 고래 문학동네 10회 수상작
은희경은 이 소설을 '작가는 현대의 소설이나 구성에 빚진 것이 없어보인다'라는 이야기로 그 자신의 한계와 천명관 소설의 가치에 대해서 솔직한 마음을 드러내었다.

잊혀진 평대와 그속에서 잊혀져간 수많은 사람들과 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
소설의 형식은 다소 기존 소설의 형식틀을 깨는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는데, 작가의 개입이 이뤄지는 부분이나, 그림의 삽입이나 하는 부분들이 독특하게 나타나 있다. 굳어진 관점에서 보자면, 천박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읽는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려는 작가의 꾸준한 노력은, 그런 부분들을 잊게 해주기 충분하다.

이야기는 신화적 구성을 따르는듯 보인다. 과거 이땅의 판소리나 이야기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다 읽고 나서 나는 자신이 평대의 오랜 구성원중 하나이며, 삶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같은 것들이 부질 없는 것임을 깨달은 나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정말 여운이 많이 남는 소설이다.
책장을 덮고 나서 긴 시간 동안 평대 사람들의 삶과 아련한 기억들이 내 머릿속을 맴돌고 있다. 놀라운 경험이다.

시대를 살아가는 이땅의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구한말 부터 현재(2000년 초중반)에 이르기 까지. 젊은 사람들과 사회 초입의 사람들이 이 글을 본다면, 사회나 삶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덜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필독서라고 할까나? 물론 이른바 [장군]들과 그 하수인들, 그리고 그 망령에서 벗어나지 못한 작금의 대통령 이씨와 그 멍청한 추종자들은 그다지 반갑지 않겠지마는.

소설 고래[천명관]

실제로 고래가 그려진 페이지가 존재.



소설 고래[천명관]

한장의 적벽돌 처럼 붉은 책의 표지.

Posted by g11000011
:

기어즈오브워2를 사서(20081108) 2주만에 엔딩을 봤다(20081116).

그리곤 친구녀석한테 팔았다.(20081121)

이 게임... 그래, 그녀석이 같이 플레이하자고 해서 산 거였지. 하여튼 녀석은 목적을 달성한 셈이고.(싸게 넘겼거든 3.5장) 난 어쨌든 엔딩 하나 더 본 셈이고.

기여워2는 1에 비해서 플레이가 많이 편해진 느낌이다. 확실히 제작 인터뷰때 FPS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난이도라던지를 조정한다고 했었지.

삼돌이 패드로 총을 첨 쏴보는 언니들도 로커스트놈들 대가리를 맞출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얘기다.

몇군데 진행상 짜증나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그런 부분들도 재로딩 몇번이면 금방 넘어갈수 있는곳이 대부분.

과연 3탄은 나올 것인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g11000011
:
연을 쫓는아이

아프가니스탄 출신 미국인 칼리드 호메이니의 자전적? 소설.

아프가니스탄의 과거와 현재를 서사적 구성에 따라 개인적 경험을 위주로 구성하였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주인공 아미르와 그의 곁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바탕으로 이루워졌다.

근래에 읽은 작품 중 이정도로 빨리 읽히는 소설은 없었음.

아미르의 아련했던 기억과 더불어, 독자 자신의 그리운 과거를 함께 떠올리게 하는 힘을 가진 소설.

내 과거는 어떠했고 내 현재는 어떠한가. 나는 의미있는 시간들을 보내고 있는가. 나는 나의 책임을 다하고 있는가. 내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근처에 있지 않은가.

가까운 사람에게 강추하고 싶은 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에게 과연 다른 사람들을 비판할 자격이 있는가.]

[너를 위해서라면 천번이라도 그렇게 해줄게.]

이 두가지를 가슴에 담고 살아간다면 인생을 살아가는데 큰 힘이 되어줄것 같다.

Posted by g11000011
: